쿠팡플레이, 왜 지금 무료화를 선언했을까?
쿠팡플레이의 기존 서비스 방식
와우멤버십 전용 콘텐츠 플랫폼
쿠팡플레이는 그동안 월 7,980원의 ‘쿠팡 와우멤버십’ 가입자만 이용할 수 있는 OTT 서비스였습니다. 오리지널 콘텐츠 ‘SNL코리아’, ‘소년시대’ 등은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되며, 외부 콘텐츠로는 HBO와 같은 고품질 콘텐츠도 유료회원 전용으로 운영돼 왔습니다.
유료회원 중심의 프리미엄 혜택
쿠팡은 유료회원에게 고화질 스트리밍, 영화 무료 제공, 공연 방청 기회 등 차별화된 프리미엄 혜택을 강화해 왔으며, 이 혜택이 멤버십 유지의 핵심 요소였습니다.
전면 무료 전환의 배경
성장 둔화에 대한 대응 전략
쿠팡의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새로운 유입 채널 확보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2025년 1분기 쿠팡Inc 매출은 전분기보다 0.7% 감소한 79억800만달러를 기록했고, 월간활성이용자 수(MAU) 증가율도 1%에 그쳤습니다. 이러한 정체 속에서 쿠팡은 ‘쿠팡플레이’의 전면 무료화를 통해 새로운 모멘텀을 노리고 있습니다.
OTT 광고 시장 공략 의도
무료회원에게는 영상 시청 전후 및 중간에 광고가 노출되며, 이를 통해 새로운 광고 수익 모델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OTT 광고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반영한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결합 멤버십 경쟁 견제 목적
최근 배달의민족은 ‘배민 멤버십’에 티빙을 추가하며 경쟁력을 강화했고, 네이버는 넷플릭스와 제휴한 상태입니다. 쿠팡 역시 쿠팡플레이 무료화를 통해 사용자 접점을 확대하며, 경쟁사 대비 콘텐츠 접근성을 높여 ‘락인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의도가 있습니다.
무료 전환 이후 쿠팡플레이의 변화
무료 회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
광고 시청 기반 무료 이용
무료회원은 광고 시청을 전제로 쿠팡플레이의 주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유료 콘텐츠였던 SNL코리아, 소년시대 등도 일부 제공되며, 사용자의 콘텐츠 접근성이 대폭 확대됩니다.
오리지널 콘텐츠 접근 확대
쿠팡 오리지널 콘텐츠는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핵심 수단으로, 무료 전환을 통해 사용자에게 자연스럽게 노출되면서 쿠팡 브랜드와 와우멤버십에 대한 관심을 유도합니다.
유료 회원에게 제공되는 차별화 혜택
고화질 스트리밍 및 HBO 콘텐츠 유지
HBO 콘텐츠 등 프리미엄 영상은 여전히 유료회원에게만 제공되며, 광고 없이 감상할 수 있는 환경 역시 유료회원만 누릴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무료회원에서 유료회원으로의 전환 유도 전략이 작동합니다.
현장 혜택 및 영화 서비스 강화
현장 방청 기회, 무료 최신 영화 혜택 등은 콘텐츠 이상의 경험을 제공하며 멤버십의 가치와 유료회원 충성도를 끌어올리는 데 기여합니다.
쿠팡의 콘텐츠 전략, 무엇을 노리나?
신규 사용자 유입을 위한 ‘미끼’ 전략
쿠팡 생태계 유입 구조 강화
쿠팡플레이의 무료화는 단순한 콘텐츠 개방이 아닌, 전체 쿠팡 플랫폼으로의 유입 전략입니다. OTT 이용자가 쿠팡쇼핑, 쿠팡이츠 등으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연결고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멤버십 전환률 상승 노림수
무료 이용자에게 기본 콘텐츠를 제공한 뒤, 더 나은 화질과 광고 없는 환경, HBO 콘텐츠 접근을 원할 경우 멤버십 가입을 유도하는 방식은 기존 OTT 업계에서 검증된 전환 전략입니다.
OTT 광고 시장 주도권 확보
국내 OTT 시장의 새로운 수익모델 실험
넷플릭스도 광고형 요금제를 도입하고 있는 상황에서, 쿠팡은 한발 더 나아가 기본 무료화를 도입하며 광고 시청 기반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국내 시장에 본격 적용하는 셈입니다.
콘텐츠 플랫폼에서 커머스 플랫폼으로의 시너지
영상 콘텐츠 시청 중 쿠팡 내 상품 광고, 프로모션 연계 등의 확장도 충분히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단순 광고 수익 이상으로 쿠팡 전체 매출 증대와도 연결됩니다.
결론적으로 쿠팡플레이 무료화는 전략적 선택
이용자에게는 기회, 기업에게는 성장 동력
쿠팡플레이의 무료 전환은 이용자 입장에서는 콘텐츠 접근성을 높이는 기회이며, 쿠팡 입장에서는 정체된 성장을 타개하기 위한 전략적 도전입니다. 광고 수익 창출, 유료회원 전환 유도, 커머스 확장까지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OTT 시장과 멤버십 시장 경쟁 가속화
네이버, 배달의민족 등과의 경쟁 구도 속에서 쿠팡이 선택한 이번 결정은 단순한 콘텐츠 정책을 넘어서는 차별화 전략입니다. 콘텐츠가 소비되는 방식, 플랫폼 간 연결 방식 모두가 달라지고 있는 지금, 쿠팡의 선택은 업계 전반의 경쟁 구도를 바꿔놓을 수 있습니다.